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면 건강에 좋다? 상식 깬 결과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면 건강에 좋다? 상식 깬 결과
스팸은 과연 햄일까 소시지일까? 그 정체에 대한 궁금증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 건강에 좋다’라는 논리를 뒤집은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령자 중 밤 늦게 활동하는 ‘올빼미형’이 ‘아침형’ 인간보다 인지 기능이 높다”는 연구 결과다.
“나는 아침에 상쾌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잠에서 깨어났을 때도 여전히 피곤함을 느낀다.
잠을 자려고 해도 좀처럼 잠이 오지 않는다. 한밤중에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잠에서 깨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 같은 수면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
수면의 질이 낮아질수록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면 과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닛게이 굿데이는 일본의 ‘전문의가 알려주는 증상별 수면장애의 진단과 치료’의 저자인 야마구치 유우지 후쿠오카 우라소에 클리닉의 원장을 통해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집어봤다.
굿데이에 따르면 영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최근 53~86세 2만6820명을 대상으로 수면과 인지 기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7~9시간 잠을 잔 사람들’이 인지 기능 검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시간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길면 인지 기증 점수가 떨어졌다.
더 눈길을 끄는 것은 수면 시간에 따라 아침, 낮, 밤(각각 자가 보고)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일찍 잠자리에 들고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이 ‘올빼미형 인간’에 비해 인지 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야마구치 원장은 “저녁형 고령자의 인지 기능이 아침형 고령자보다 더 뛰어난 이유는
저녁 시간에 몰두할 수 있는 지적인 취미를 갖고 있어 저녁에 더 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일 수 있다”면서
“저녁에 즐길 수 있는 취미가 없다면 TV를 보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8시간 정도는 자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나이가 들면 쉽게 피로를 느끼고 늦게까지 깨어 있을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저녁에 일찌감치 침대에 눕게 된다.
그러나 고령층이 되면 젊었을 때처럼 장시간 수면을 취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낮 동안의 활동량과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젊었을 때보다 필요한 수면 시간이 줄어든다.
약 3600명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해외 조사에 따르면, 25세의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40세는 6시간 30분, 65세는 6시간, 80세는 5시간 30분으로 나이가 들수록 수면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미 수면 시간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지나치게 이르면 새벽에 깨어나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
평균적으로 65세인 사람이 오후 9시에 잠자리에 든다면, 새벽 3시에 깨어날 가능성이 크다.
만약 아침 5시까지 자고 싶다면, 최소한 밤 10시나 11시까지는 깨어 있는 것이 좋다는 얘기다.
야마구치 원장은 “고령층 중 6시간조차 자지 못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중간에 깨거나 새벽에 너무 일찍 깨어나는 문제를 겪는 사람도 늘고 있다.
그러나 중간에 깨거나 새벽에 깨더라도 낮 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불면증으로 진단되지는 않는다.
수면 시간이 조금 짧아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고령층의 경우 장시간 자는 것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고 말했다.